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육아로 인한 퇴사, 걱정하지 마세요! 서류 준비부터 실업급여까지 완벽 가이드

by 31sdkjf 2024. 5. 6.

 

 

육아로 인한 퇴사, 걱정하지 마세요! 서류 준비부터 실업급여까지 완벽 가이드

 

목차

  1. 육아로 인한 퇴사, 어떤 서류가 필요할까요?
  2. 육아 퇴사 확인서 작성 방법 (근로자용 & 사업주용)
  3. 육아 퇴사 후에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요?
  4. 육아 퇴사 후, 고용센터 방문 일정 및 준비물
  5. ❓ 궁금증 해결! 육아 퇴사 관련 자주 묻는 질문

** 육아로 인한 퇴사, 어떤 서류가 필요할까요?**

육아를 위해 퇴사를 결심하셨다면, 먼저 준비해야 할 서류가 있습니다. 퇴사 신청 외에도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추가 서류들이 필요합니다.

필수 서류:

  • 주민등록등본: 본인 및 자녀의 주소 확인
  • 배우자 재직증명서: 배우자가 있는 경우, 배우자의 재직 여부 확인
  • 육아 퇴사 확인서 (근로자용): 퇴사 사유 및 육아 사실을 근로자가 작성
  • 육아 퇴사 확인서 (사업주용): 퇴사 사유 및 육아 사실을 사업주가 작성

추가 서류 (실업급여 신청 시):

  • 이직확인서: 퇴사 후 3개월 이내에 재취업한 경우 제출
  • 육아사유 해소 확인 서류: 육아 사유가 해소된 경우 제출 (예: 만 8세 이상 자녀 입학 증명서)

** 육아 퇴사 확인서 작성 방법 (근로자용 & 사업주용)**

근로자용 육아 퇴사 확인서는 퇴사하는 근로자가 직접 작성합니다.

  • 필요 기재 사항:
    • 근로자 정보 (이름, 생년월일, 주소, 연락처)
    • 퇴사 날짜
    • 퇴사 사유 (육아)
    • 육아 대상 자녀 정보 (이름, 생년월일)
    • 작성 날짜 및 서명

사업주용 육아 퇴사 확인서는 퇴사하는 근로자의 퇴사 사유 및 육아 사실을 사업주가 확인하여 작성합니다.

  • 필요 기재 사항:
    • 근로자 정보 (이름, 생년월일)
    • 퇴사 날짜
    • 퇴사 사유 (육아)
    • 육아 대상 자녀 정보 (이름, 생년월일)
    • 사업주 정보 (회사명, 대표자명, 연락처)
    • 작성 날짜 및 도장

** 육아 퇴사 후에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요?**

네, 육아 퇴사 후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근로기간: 최근 1년 6개월 이상 보험에 가입되어 근로해야 함
  • 최소 근로시간: 1일 평균 3시간 이상 근로해야 함
  • 비자발적 퇴사: 퇴사가 본인의 의지가 아닌 부득이한 사유로 이루어져야 함 (육아, 질병, 부양가족 돌봄 등)
  • 실업상태 유지: 퇴사 후 14일 이내에 고용센터에 신고하고, 1개월 이상 실업상태를 유지해야 함

** 육아 퇴사 후, 고용센터 방문 일정 및 준비물**

퇴사 후 14일 이내에 가까운 고용센터를 방문하여 퇴직신고 및 실업급여 신청을 해야 합니다.

준비물:

  • 육아 퇴사 확인서 (근로자용 & 사업주용)
  • 주민등록등본

 

더 자세한 참고자료는 아래를 참고하세요.

 

더 자세한 참고자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