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육아하면서도 경력 단절 없이? 육아단축근무 급여계산 방법 완벽 가이드

by 31sdkjf 2024. 3. 5.

육아하면서도 경력 단절 없이? 육아단축근무 급여계산 방법 완벽 가이드

 

육아하는 기간은 소중하고 행복한 시간이지만, 복직 후 경력 단절을 걱정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런 분들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바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인데요, 이 제도를 활용하면 일과 육아를 병행하면서 경력 단절 없이 복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육아단축근무를 이용하면 근로 시간이 줄어드는데, 그에 따른 급여는 어떻게 계산되는지 궁금하시죠? 이 글에서는 육아단축근무 시 급여 계산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육아단축근무란?

육아단축근무란 만 1살 미만의 자녀를养育(양육)하는 부모가 신청하여 주당 근로 시간을 최대 1/2까지 단축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를 이용하면 아이 돌보 시간을 확보하면서 일과 육아를 조율할 수 있으며, 고용보험 피해보험 기간연금 가입 기간 또한 산후 휴가 기간과 동일하게 산입됩니다.

육아단축근무 급여 계산 방법

육아단축근무 시 급여는 크게 사업주가 지급하는 급여고용노동부에서 지급하는 육아기 근무시간 단축급여 두 부분으로 나누어 계산됩니다.

사업주가 지급하는 급여

사업주가 지급하는 급여는 실제 근무 시간에 비례하여 산정됩니다.

예를 들어, 통상 근로 시간이 주 40시간인 경우 육아단축근무를 신청하여 주 30시간 근무하게 되면, 사업주에게 지급받는 급여는 통상 임금의 30/40 (75%)에 해당하는 금액이 됩니다.

참고: 시간 외 수당, 휴일 수당, 야간 수당 등 각종 수당 또한 실제 근무 시간에 따라 비례하여 지급됩니다.

고용노동부가 지급하는 육아기 근무시간 단축급여

고용노동부에서는 육아단축근무를 이용하는 근로자에게 일정 금액의 급여를 지원합니다. 이 급여는 통상 임금의 40%를 기준으로 주당 단축된 근로 시간에 비례하여 산정됩니다.

예시:

  • 통상 임금: 200만 원
  • 주 단축 근로 시간: 10시간 (통상 근로 시간 40시간에서 10시간 감소)

고용노동부가 지급하는 육아기 근무시간 단축급여:

200만 원 (통상 임금) * 40% * 10시간 (주 단축 근로 시간) / 40시간 (주 통상 근로 시간) = 20만 원

따라서 이 경우 근로자는 사업주에게서 150만 원 (200만 원 * 75%)을 받고, 고용노동부에서 20만 원을 받아 총 170만 원을 받게 됩니다.

참고: 육아기 근무시간 단축급여는 최대 12개월까지 지급되며, 신청 기준일부터 만 18개월이 되는 날까지 遡及(소급) 신청이 가능합니다.

육아단축근무 급여 계산 시 유의사항

  • 육아단축근무 신청 시 사업주와 합의하여 급여 지급 방법을 명확하게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육아단축근무를 이용하는 기간 중 승급이나 변동급 등이 발생할 경우 급여 계산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니, 사업주와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