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육아휴직 기간, 경력 인정 받는 방법 알아보기!

by 31sdkjf 2024. 3. 7.

육아휴직 기간, 경력 인정 받는 방법 알아보기!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육아휴직과 관련된 질문 중 하나가 바로 "육아휴직 기간은 경력 인정을 받을 수 있나?" 입니다. 육아휴직 자체는 법적으로 보장되는 제도이지만, 실제 경력 인정 여부는 다소 복합적인 상황입니다. 오늘은 육아휴직 기간의 경력 인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법률적인 규정

먼저 알아야 할 것은 현재 대한민국 법률은 육아휴직 기간을 근무 경력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노동기준법 등 관련 법률에는 육아휴직과 관련하여 근무 기간 산입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습니다. 다만, 남녀고용평등법 제19조에서는 육아휴직 기간을 연차 및 퇴직금 산정과 관련하여 계속근로기간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개별 근로계약과 취업규칙

법적으로는 육아휴직 기간을 경력으로 인정하지 않지만, 개별 근로계약이나 사업장의 취업규칙에서 육아휴직 기간을 일정 조건 하에 경력으로 인정한다고 명시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노사 간의 합의사항이므로 반드시 그 규정에 따라야 합니다.

따라서 육아휴직 후 복직 시 경력 인정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근로계약이나 취업규칙을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해당 규정에 명확한 내용이 없다면 직접 상사나 인사 담당자에게 문의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무원의 육아휴직 경력 인정

공무원의 경우 육아휴직 기간 일부를 승진 경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인사혁신처 규정에 따라

  • 첫째 자녀: 휴직기간 중 최대 1년까지
  • 둘째 자녀 이후: 전체 휴직기간

을 승진 경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는 승진 시 적용되는 규정이며, 일반적인 경력 산입과는 차별적인 부분이 있음을 유의해야 합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활동

최근에는 육아휴직 기간의 경력 인정을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활동의 일환으로 도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이는 육아휴직 제도를 활성화하고, 남녀 근로자 간의 평등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따라서 육아휴직을 고려하고 있는 분들은 희망하는 기업의 육아휴직 관련 혜택이나 정책을 사전에 알아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맺음말

육아휴직 기간의 경력 인정은 아직 완전히 법제화되지 않았지만, 개별 기업의 노력과 사회적 인식 변화를 통해 점차 개선되고 있습니다. 육아휴직을 躊躇(주저)하는 분들은 먼저 관련 법규와 기업의 정책을 확인하고, 주변 자문을 통해 최선의 결정을 내리는 것이 좋습니다.